Exhibition

페이지 정보

이원철 - TIME-시계 밖의 시간 (2024.12.19~12.30)

본문



 이원철 - TIME-시계 밖의 시간

 

 (2024.12.19~12.30)


b202149e6c3d0d2828acad3878597cfd_1734426881_6329.jpg

London, United Kingdom_60x77cm_Archival Pigment Print_2024. 

 


유럽의 오래된 건물에는 대개 시계가 있다. 시계가 있는 건물들은 종교적 정치적 사회적 상징성을 띠고 있는데 높은 건물을 짓고 그 위에 시계를 설치하는 데는 단지 시간을 알려주기 위한 기능 외에 다른 이유가 있을 것이라는 것에 작가는 천착한다. 이원철 작가는 <TIME-시계 밖의 시간>전을 통해 시계의 상징성과 시간의 의미를 탐구하게 된다.


현대사회 특히 대도시에서 시곗바늘의 지침에 따라 생활하고 있는 현대인들의 삶을 반추해 본다. 전제군주나 종교가 지배하던 시대에는 권력의 상징이 되었고 오늘날은 모든 일상의 기준이 되는 '시계‘라는 오브제를 통해 시간의 의미를 찾고자한다.


이원철 작가는 시계 속에 시간이 존재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 농촌 생활을 예로 들면, 농사를 짓는 사람들에게 시계 속의 시간은 무의미하다. 계절마다 해가 뜨고 지는 시간 다르기 때문에 그들에게 필요한 건 자연의 시간이다. 동지와 하지의 해가 떠 있는 시간을 비교해 보면 6시간가량 차이가 난다. 6시간의 차이는 도시에선 오차라고 할 수 없을 만큼 큰 시간의 폭이다.”라고 답한다. 그에게 있어 시간은 모든 곳에 존재하지만 장소나 상황에 따라 상대적인 개념이라는 것이다. 그는 시계를 통해 시간에 대한 담론을 풀어내고, 시계 속에서 시간의 존재를 유추하고 추출하는 작업을 이어간다. 이미지로 설명하자면 시계 속에서 시간을 지시하는 시계 바늘을 사라지게 하고, 주변의 변화 (사람들의 움직임, 나뭇가지의 흔들림, 구름의 흐름)를 통해 시간을 보여주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렇게 생성된 이미지 속에 시계는, 눈금만 존재하고 시간을 나타내는 시계바늘은 사라지게 되며, 그 이미지는 비현실적으로 보이게 되고 시간의 존재에 대해 다시 생각하는 기회가 된다는 것이 작가의 말이다. 아울러 사진이라는 매체의 특성상 시계에 대한 기록적 의미도 갖는 전시로 시간의 의미를 되새기는 연말에 잘 어울리는 전시다.


b202149e6c3d0d2828acad3878597cfd_1734426909_4032.jpg

London, United Kingdom_93.4x120cm_Archival Pigment Print_2024



b202149e6c3d0d2828acad3878597cfd_1734426909_4513.jpg

Prague, Czech_60x77cm_Archival Pigment Print_2024



b202149e6c3d0d2828acad3878597cfd_1734426909_521.jpg

Seoul, Korea_55x73.8cm_Archival Pigment Print_2024



b202149e6c3d0d2828acad3878597cfd_1734426909_5679.jpg

Seoul, Korea_60x74.6cm_Archival Pigment Print_2024



b202149e6c3d0d2828acad3878597cfd_1734426909_6069.jpg

Sydney, Australia_140.8x100cm_Archival Pigment Print_2024


 b202149e6c3d0d2828acad3878597cfd_1734426960_858.jpg

Budapest, Hungary_60x74.6cm_Archival Pigment Print_2024



b202149e6c3d0d2828acad3878597cfd_1734426960_932.jpg

Budapest, Hungary_60x77cm_Archival Pigment Print_2024



b202149e6c3d0d2828acad3878597cfd_1734426960_9817.jpg

Budapest, Hungary_72.8x60cm_Archival Pigment Print_2024



b202149e6c3d0d2828acad3878597cfd_1734426961_0322.jpg

Havana, Cuba_60x74.6cm_Archival Pigment Print_2024



b202149e6c3d0d2828acad3878597cfd_1734426961_1045.jpg

Ho Chi Minh, Vietnam_60x77cm_Archival Pigment Print_2024




이 원 철   李 源 喆   Lee, Won-Chul 


현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사진디자인 전공 부교수



학력 

2022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사진학 전공 졸업 (박사)

2007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사진디자인 전공 졸업 (석사)

2002  RMIT University, Photography 전공 졸업 (학사)

1999  서울예술대학 사진전공 졸업


개인전

2024   ‘TIME’ - 갤러리 자인제노 (서울)

2024   ‘The Color of Light’ - 공감선유 (군산)

2022   ‘한 번도 가본 적 없는, 한 번도 떠나본 적 없는’ - 무늬와 공간 (서울)

2022   ‘The Starlight’ - 갤러리 컬티브 (경기)

2022   ‘존재와 시간 Sein und Zeit’ - 예 갤러리 (안동)

2022   ‘Nostalgia THROUGH Jeju’ - 아트랩와산 (제주)

2021   ‘L(N)ightscape’ - 와이아트 갤러리 (서울)

2019   ‘불 꺼진 등대’ - 갤러리 비트리 (서울)

2019   ‘The Starlight’ - Gallery H (일산)

2019   이원철 사진전 – 갤러리 사노 (교토, 일본)

2019   ‘TIME’ - 당림미술관 (아산)

2019   ‘The Starlight’ - Gallery H (청주)

2018   ‘도시산책’ - 갤러리 인사동마루 (서울)

2018   ‘The Starlight’ - K2 CS Center (서울)

2017   ‘The Starlight’ – 반도카메라 갤러리 (서울)

2016   ‘TIME' - 갤러리 토스트 (서울)

2016   이원철 사진전 - IFC Seoul (서울)

2015   ‘시간아, 천천히...’ - 보름산 미술관 (경기)

2015   ‘A Midsummer Night's Dream’- 갤러리 아침 (서울)

2015   ‘유리창’ - 영은미술관 (경기)

2014   ‘TIME’ – 제이원 갤러리 (대구)

2014   ‘TIME’ - 풍월당 (서울)

2014   ‘TIME’ – Space22 (서울)

2013   ‘The Starlight’ – Art space Withartist (헤이리)

2012   ‘TIME’ – Space CAN (북경, 중국)

2011   ‘Skiagraphie’ – 갤러리 브레송 (서울)

2010   ‘Industrial Starlight’ – 대우증권 역삼역 갤러리 (서울)

2009   ‘Industrial Starlight’ – 갤러리 진선 (서울)

2008   ‘The Starlight-경주’ – 수화랑 (대구)

2008    이원철 사진전 – 갤러리 디자이너주 (서울)

2007   ‘The Starlight-경주’ – 갤러리 진선 (서울)

2006   ‘Epiphanie Landscape’ – 가나포럼스페이스 (서울)

2005   ‘교차하는 시선’ (2인전) – 대림미술관 (서울)

2004   ‘The Starlight’ - 갤러리 룩스 (서울)


단체전

2024   대한민국 국제포토 페스티벌 2024 - 예술의 전당 한가람디자인미술관 (서울)

2024   KISM International DESIGN Invitation Exhibition - Witches Play Gallery (광주)

2024   KSBDA Spring International Invitational Exhibition – 부경대학교 갤러리 라운지 (부산)

2023   ‘섬으로부터’ - 후퍼 갤러리 (제주)

2023   ‘Interaction & Emergence’ - DMU Fine Art Studio (레스터, 영국)

2023   ‘Fusion & Formation’ -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서울)

2023   ‘마음의 중심에 서서 충주를 외치다’ - 충주문화회관 (충주)

2023   KSBDA San Francisco International Invitational Exhibition - (San Francisco, 미국)

2023   ‘Sustainable Smart Media Technology and Innovation’ - 순천대학교 70주년 기념관 갤러리 (순천)

2023   ‘Environment, Information, and Formative’ - 국민대학교 예술관 국민아트갤러리 (서울)

2022   제남 국제 사진비엔날레 – 산동 예술공예 아카데미 미술관 (제남, 중국)

2022   ‘WE SEE WHAT WE WANT’ - 갤러리 더 씨 (서울)

2022   ‘Contemporary Korea Photography’ - 김영섭 사진화랑 (서울)

2022   CULTIVE 2인전 – 갤러리 컬티브 (경기)

2022   ‘사진, 책으로 만나다 2022’ - 와이아트 갤러리 (서울)

2022   ‘순수한 여행’ - cafe de FESSONIA (서울)

2022   ‘팝콘 파노라마’ - M 갤러리 (천안)

2021   ‘Photo+Shift’ - 금보성 아트센터 (서울)

2021   ‘팝콘의 파노라마’ - 당림미술관 (아산)

2021   ‘삼다도, 그림도’ - 제주돌문화공원 (제주)

2021   ‘끝날 때까진 끝난 게 아닌 전시’ -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2021   인천개항장 국제사진영상제 – 한중문화관 (인천)

2021   ‘아트플렉스마켓’ - 충무로 갤러리 (서울)

2021   ‘사진가의 시간 여행법’ - 갤러리 브레송 (서울)

2021   ‘예술과 기술의 만남’ - 갤러리 박영 (경기)

2021   ‘8인의 교수전’ - 갤러리 인덱스 (서울)

2020   ‘사이거리’ - 와이아트 갤러리 (서울)


수상 

2014   수림사진문화상 작가상 (수림문화재단)

2009   포스코 스틸아트어워드 본선작가상 (포스코 청암재단)

2008   중앙미술대전 올해의 작가 선정 (중앙일보)

2008   송은미술대상 우수상 수상 (송은문화재단)


작품소장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영은미술관 (경기), SOMA 미술관 (서울), Kiyosato Museum (일본), 주한호주대사관 (서울), SOKA Contemporary Art Center (북경),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경기), 수림문화재단 (서울), 송은문화재단 (서울), 가나아트센터 (서울), 영종메디컬센터(인천), 귀뚜라미 (서울), 한미칼라팩 (경기), 원익 (경기), 푸른저축은행 (서울), 코오롱 (경기), 신영증권 (서울), 한길사 (경기), 범양이엔씨 (서울), 홍익대학교 (서울)



List
갤러리 자인제노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0길 9-4 (창성동)|Tel : 02-737-5751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블로그
COPYRIGHT ⓒ GALLERY ZEINXENO. ALL RIGHTS RESERVED.